Port & Cargo | 주간 중국 해운 단신 (2018년 8월 29일) | ||||
---|---|---|---|---|---|
Writer | Admin | Date | 2018-08-30 | Hits | 2,440 |
** 주간 중국 해운 단신 (2018년 8월 29일) **
1. Huanghua 항구 20만톤급 광석 부두 대외 개방 (2018年 7月 24日 中國港口罔)
2018년 7월 5일 Hunaghua 항구의 20만톤급 철광석 부두가 하북성부두협회의 심사를 통과하여 7월 17일 정식으로 외국적 선박에 개방됨. 따라서 Huanghua 항구는 선석 총 11개 로서 종합 항구로서 여건을 갖추고 하북성 철강물류를 담당하는 5만톤급 Bulk & G. cargo 선석 2개의 대외 개항과 함께 전면적으로 발전하게 되었음.
2. 중국항 2018년 상반기 화물량이 전년도 대비 3.7% 증가 (2018年07月16日 09:41:39 中国航贸网 )
1) 항구 화물량 및 수입량 지속적인 증가 상반기 경제가 지속적이 안정과 발전으로 중국 전체 화물 취급량이 64.2억톤, 동기 대비 3.7% 증가, 이중 외국 화물 취급량은 20.5 억톤 동기 대비 4.4% 증가 하였음. 현재 항구 화물량은 안정을 유지하고 있음.
2) 컨테이너 화물 취급이 비교적 빠르게 증가. 상반기 대외 무역이 안정, 효율이 많이 제고 되었음. 유럽등 주요 경제가 안정적인 증가, 무역 활발, 컨테이너 수요 안정, 주요 항구의 취급량 증가. 전체 취급량 1.06억TEU, 동기 대비 6% 증가함.
3) 내항 석탄 운송량 증가, 외국 석탄은 기본 유지. 상반기 내항 석탄 및 수입 석탄은 4.36억톤, 동기 대비 3% 증가. 이중 내항 석탄은 3.7억톤, 둥기 대비 3.4% 증가. 수입 석탄은 6,300 만톤 동기 대비 0.2 % 증가 .
4) 수입 철광석은 소폭 하락. 상반기 수입 철광석 4.7억톤, 동기 대비 2.7% 하락. 국내 철강 경기는 계속 호전되었으나 철광석 항구의 재고량은 비교적 높은 편으로 국내 제철소 공급에 비교적 충분함. 제철소 생산성 제고, 철광석 수입애 대한 수요가 안정적이라 소폭 감소를 초래하고 있음.
3. 長江 남경 이남 수심 12.5 미터 항로 2차 프로젝트 완공 (2018-04-25 中港网 )
4월 24일에 장강 남경 이남 12.5 m 2차 深水항로 프로젝트 완공으로 (약칭 2차 프로젝트) 5만톤급 선박 남경 직항 가능. 난통 南通에서南京까지 227 km 구간은 수심 12.5 m로 6개월전 건설되어 시험운항이 가능해졌고 南京에서 长江口까지 431 km 수심 12.5 m 항로가 전면 개통되음. 2018년 5월에 시험운항을 시작하여 5만톤급 선박이 남경으로 아무런 저해 없이 접근이 가능해 졌음.
4월 23일/24일 교통운수부장강항무국, 강소성교통운수청, 장강항로국, 장강해사국, 강소해사국, 장각항운개발연구회, 장각남경항로국등 여러 기관이 대회에 참석하여 2차 프로젝트에 대한 건설 규모, 내용, 표준및 요구 사항등을 심사후 통과시켰음. 2차 프로젝트는 71.5억 인민폐가 투자 되었고 프로젝트 건설후 난통에서 남경까지 227 km의 수로가 안정적으로 되고 항로 수심이 10.50m 에서 12.50 m로 향상. 항로의 최소 폭 도 200 m 에서 250 m 향상되어 통항하는 선박은 3만톤급에서 5만톤급올 향상되고 따라서 5만톤급 컨테이너 만재 선박의 통항이 가능하게 되었음. 또한 10만톤급 선박이 남경까지, 20만톤급 선박이 Lightening 작업후 Jinayin 까지 들어 올수 있게 되었음. 이 프로젝트는 중국내 내항 투자로서는 최대 규모, 기술의 복잡성이 큰 프로젝트였으며 3차 프로젝트는 2015년 준공하여 정식 운용하고 있는 1차 프로젝트 Taicang/Nantong 구간의 56 km 구간 관리, 2차 프로젝트 Nantong/Nanjing 227 km 구간 관리에 대한 검토후 준비하여 실시될 예정임.
* 위의 새로운 심해 항로 개통에 대하여 시노파이스트가 확인한 사항입니다
< 시노파이스트 해운정보팀 > |
|||||
Attach |
Prew ▼ | 주간 중국 해운 단신 (2018년 8월 14일) |
---|---|
Next ▲ | Cleaner energy will be hot topic in winter |